초점거리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웃포커싱 사진 찍는 법 - 피사계 심도 DOF 이해 (feat. 단렌즈, 조리개) 안녕하세요 후니입니다! 오늘은 아웃포커싱 기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사진에 관심이 많이 없으신 분들도 다들 아웃포커싱에 대해서는 한 번씩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보통 아웃포커싱은 피사계 심도를 얕게 하여 초점이 맞는 피사체는 제외하고는 앞뒤의 배경을 흐리게 만들어 피사체를 부각하는 사진 기법입니다. 또한, 사진뿐만 아니라 드라마나 영화 등 영상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위의 사진을 보시면, 초점이 잡힌 피사체를 제외한 앞에 다른 피사체나 뒤의 배경을 흐리게 날림으로써 피사체에 집중할 수 있는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1. 피사계 심도 제가 앞서 피사계 심도에 대해서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피사계 심도의 뜻은 카메라에서 초점이 맞은 것으로 인식되는 앞, 뒤의 범위를.. 더보기 화각이란 무엇일까? - 초첨거리에 따른 렌즈군 (feat. 환산화각 풀프레임 vs 크롭) 안녕하세요 후니입니다 :) 오늘은 카메라 용어 중 화각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1. 화각이란 ? 화각은 카메라 렌즈를 통해서 카메라가 해당 이미지를 담을 수 있는 각을 뜻합니다. 화각을 지칭하는 영어 표현은 Angle of view, Field of view(FOV) 등이 있습니다. 우리가 카메라 렌즈에 대해 얘기할 때 보통 초점거리 50mm 단렌즈다, 24-70mm 줌렌즈다 이런 이야기들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초점거리에 따라 우리가 볼 수 있는 이미지의 각도 즉 화각이 정해집니다. 위의 식은 초점거리에 따른 화각을 계산하는 식입니다. 복잡해 보일 수도 있지만, 어려울 것 없습니다. A는 화각, f는 초점거리, K는 빛을 받아들이는 상의 크기입니다. K는 필름 카메라에서는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