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진학 & 카메라

카메라 촬영 모드 P, S, A, M - 수동 촬영 모드

안녕하세요 후니입니다.

오늘은 촬영 모드에 대해 포스팅하고자 찾아왔습니다.

 

카메라를 구입하셨는데 아직도 Auto 모드로 촬영하고 계신가요? 그렇다면 아직도 카메라를 제대로 쓰지 않고 계신 겁니다. 오늘 카메라의 여러 가지 촬영 모드에 대해 설명해 드릴 테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기본 - 노출의 3요소인 조리개, 셔터스피드, ISO에 대한 이해

카메라 촬영 모드에 앞서 가장 먼저 이해하야 할 것이 조리개, 셔터스피드, ISO입니다.

아래 참고글을 통해 노출과 그 3요소에 대해 이해하고 가시면 오늘 내용에 큰 도움이 되실 겁니다.

 

참고글 : 노출의 3요소 : 조리개, 셔터스피드, ISO

참고글 : 역광 사진 잘 찍는 법 - 적정 노출, 측광 이해 및 활용하기

 

3요소에 대해서 한 줄로 요약하자면, 

 

조리개  - 조리개 값 (F)가 작으면 빛이 많이 들어오고, 심도가 얕아집니다. 조리개 값이 커지면 그 반대입니다.

셔터스피드 - 셔터스피드가 빠를수록 어둡고, 잔상 없는 순간포착이 가능합니다. 느려지면 그 반대입니다.

ISO - ISO가 높을수록 밝아지지만, 그만큼 노이즈가 생깁니다. ISO가 작아지면 그 반대입니다.

 


Auto 모드 vs 수동 촬영 모드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있어, Auto 모드는 물론 편한 기능입니다. 노출에 대한 걱정 없이 상황에 맞게 적당한 품질의 사진을 뽑아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사용하시면 스마트폰 카메라와 크게 다를 바가 없습니다. 


만약 피사체를 더욱 부각하기 위해 피사체를 제외한 뒷 배경을 아웃포커스 기법을 통해 흐리게 하고 싶다거나, 날아가는 새를 순간 포착하고 싶다면 어떻습니까? 과연 Auto 모드로 원하는 촬영을 할 수 있을까요?

 

Auto 모드는 조리개, 셔터스피드, ISO가 모두 자동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세밀한 촬영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용도에 맞는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수동 촬영 모드가 필수적입니다.

 


촬영 모드의 종류

 

A7M3 다이얼 모습, 저는 주로 A모드나 M모드를 사용합니다.

A7M3 카메라에 있는 다이얼입니다. 이 다이얼에 보시면 영어로 P, A, S, M이 있는데 이것들이 촬영 모드에 해당합니다.

참고글 : A7M3 리뷰 및 언박싱

 

P모드 (Program mode)

P 모드의 경우 카메라와 셔터스피드는 자동이고 ISO나 측광 등을 직접 수동 설정하여 촬영할 수 있는 일종의 반자동 모드입니다. 노출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진의 밝기 조절이 가능합니다.

 

조리개와 셔터스피드가 자동모드기 때문에, 빠르게 사진 촬영이 가능하지만, 조리개와 셔터스피드가 따로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용도가 제한적입니다.

 


A모드 (Av mode - Aperture Value) : 조리개 우선 모드

A모드는 조리개 우선 모드로서, 조리개를 수동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조리개를 통해 사진의 배경 흐림 (아웃포커싱) 기법을 많이들 사용하시기 때문에 흔히 사용되는 촬영 모드입니다. A 모드에서는 셔터스피드 조절이 불가능하고, ISO는 가능합니다.

 

조리개 값은 F로 표현되는 데 값이 작을수록 조리개가 많이 열리고, 클수록 작게 열립니다. 이에 따라 빛의 양이 조절되고 사진의 심도가 결정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참고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글 : 아웃포커싱 사진 찍는 법 - 피사계 심도 DOF 이해

 

조리개 값에 따른 노출과 심도


S모드 (S, Tv mode -Shutter, Time Value) : 셔터스피드 우선 모드

S모드는 셔터스피드 우선 모드로서, 셔터스피드를 수동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셔터스피드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촬상면의 도달하는 빛의 양을 조절해 노출을 컨트롤할 수 있거나, 또한 움직이는 피사체의 잔상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셔터스피드를 수동으로 설정하다 보면 조리개는 적정 노출을 위하여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셔터스피드를 느리게 하면 조리개는 닫히고 셔터스피드를 빠르게 하면 조리개를 엽니다. 적정한 빛의 확보를 위해서입니다.

 

셔터스피드는 흔히 1/60, 1/500 이런 분수로 표현되는데, 말 그대로 1/60초 동안 셔터가 열려 빛을 받았다는 뜻입니다.

 

셔터스피드에 따른 노출과 움직이는 피사체 선명함


M모드 (Manual mode) - 수동모드

M모드는 조리개와 셔터스피드를 모두 수동으로 설정하는 모드입니다. 용도에 맞게 조리개와 셔터스피드를 수동으로 설정하면서 이에 따른 빛의 노출 또한 생각하면서 설정해야 합니다. ISO를 만약 Auto로 두셨다면, 노출값이 자동으로 세팅될 수는 있습니다.

 

M모드시 LCD 화면, 렌즈캡을 씌우고 찍은거라 화면이 어둡습니다.

위에는 촬영 모드 시 카메라 LCD 화면입니다. 갤럭시노트 펜으로 쓴 거라 글씨가 엉망인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보시면, 셔터스피드, 조리개, ISO 수동 설정 시, 노출값 앞에 MM이라고 나오고 -2.0으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노출에 영향을 끼치는 모든 값을 수동 설정해주었기 때문에 노출을 따로 설정할 수가 없습니다.

 


촬영 모드에 따른 카메라 설정 여부

ISO는 자동 및 수동 전환이 가능합니다.

노출에 대한 이해와 그 3요소를 이해하지 못하면 수동모드 촬영 시 어려움이 많으실 겁니다. 하지만, 수동모드를 잘 활용해야만 카메라의 성능을 온전히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글 상단에 링크글 참고하시면 기본적인 이해를 하시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오늘은 카메라의 촬영 모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카메라 사용하시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글이길 바랍니다.